ccP

교강사진

CCP 포토마스터 과정, CCP 특별과정

박찬민  |  포트폴리오와 사진전시, 포토마스터플러스(PMP)

박찬민은 고려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하였으며, 영국 에딘버러 대학교(The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MA Contemporary Art를 전공했다. 제1회 KT&G SKOPF 지원 작가, 서울시립미술관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었으며, 제6회 일우사진상을 수상하였다. <BLOCKS>, <공간의 포위>, <We built this City>, <CITIES> 등의 개인전을 가졌고, 대구사진비엔날레 <도시의 비밀>, <Twin Town>, 서울사진축제 <서울視▪공간의 탄생>, <사진과 미디어:새벽4시>, <나를 만나는 계절>, <MMCA 사진 소장품전: 당신의 세상은 지금 몇 시?>, <Mega Seoul 8 Decades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등 여러 그룹전에 참여했다. 서울시립미술관과 대구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상상마당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작품집으로 <BLOCKS, 2012>와 <Surrounded by Space, 2015>가 있다. 박찬민은 도시의 구조를 탐구하고, 도시 공간과 도시인의 삶의 본질을 포착하는 작업을 한다. 작품 전반에 걸친 중립적인 시선을 유지함으로써 도시에 대한 관람자들의 서로 다른 해석을 이끌어내고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진센터에서 포트폴리오와 사진전시 및 포토마스터 플러스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박형근  |  예술사진연구, 포토마스터플러스(PMP)

박형근은 영국의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컬리지 대학원에서 시각미술을 전공한 후 MA 이미지 앤 커뮤니케이션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상명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0년 후반부터 지각성, 영성, 공생 등의 문제를 탐구하며 <금단의 숲>, <텐슬리스>, <붉은 풍경>, <두만강 프로젝트> <제주도> 연작을 발표했다. 영국 뉴아트갤러리워셜미술관, 이탈리아 파올라멜리가갤러리, 금호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경기창작센터, 대안공간루프, 뮤지엄한미MoPS 등의 개인전을 비롯하여 제3회 제주비엔날레, 파리 포토케이비엔날레, 대구사진비엔날레, APAP, 휴스턴 포토페스트비엔날레, 국립현대미술관 등의 국내외 단체전에 참여했다. <기억의 지층, 2024>, <텐슬리스, 2022> 등을 출간하였고 제12회 일우사진상, 2014 프랑스 자크 시라크 국제사진상, 9회 다음 작가상을 수상했다.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특별전 예술감독, 제주문화예술재단 비상임이사, 17회 전주국제사진제 예술감독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사진영상전공의 초빙교수이며 중앙대학교 사진센터에서 예술사진연구 및 포토마스터 플러스 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정경자  |   예술사진 연구

정경자는 중앙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하고, 영국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현대미술 석사를 졸업했다. 5회 일우사진상, 올해의 주목할 만한 작가(2013)와 광주신세계미술제 대상(2022), 뮤지엄 한미 사진가 포트폴리오 개인전부분(2022)에 선정되었다. 개인전 <Floating>(café de Flora, 1998)을 시작으로 <Story within a story>(토요타포토 스페이스, 2013), <우연의 뿌리>(일우스페이스, 2014), <감각의 경계>(스페이스 22, 2019), <다른 면>(뮤지엄 한미 삼청별관, 2023), <어떤 의미>(광주신세계갤러리, 2023) 19여 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Abwesen>(Weltkunstzimmer 독일, 2022) <Sounding the gaze_구본창,정경자>(KP Gallery, 2021), <예술가 (없는) 초상>(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 2018), <서울사진축제: 창동, 사진을 품다>(플랫폼 창동 61, 2017), <역사풍경: 서소문동 37번지>(서울시립미술관, 2017), 대구사진비엔날레<도시의 비밀>(대구예술발전소, 2012) 등 국내외 여러 그룹전에 참여하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작품집으로는 『다른 면』(가현문화재단, 2023) 『우연의 뿌리』(일우재단, 2014)와 『In between Something and Nothing외』(Hezuk Press, 2012)가 있고, 수필집 『조용한 열정』(마음산책, 2004)의 사진 작업을 한 바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진센터에서 예술사진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지중근  | 창작사진 연구

지중근은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광고사진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전부터 매거진 하우스 스튜디오에서 작업을 시작했고 25년간 인천국제공항, 호텔신라, 한화 등 기업체 애뉴얼리포트와 삼성전자, LG전자, 소니코리아등과 함께 여러 이미지 작업을 진행에 왔다.광고사진 스튜디오 ‘쉬크이미징’ 과 복합예술공간 ‘수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광고사진가, 복합예술공간, ‘수플레이스’ 대표,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월간’art in culture’ 사진 디렉터 역임, 민주화운동기념관 내 30m LED wall 전시 ‘민주의 기억’ 컨텐츠 제작, 삼성전자, LG전자, 기아자동차, 소니코리아등 다수의 제품 광고사진 작업, 인천국제공항, 한화, 대림, 호텔신라 등 기업 이미지 제작

한제훈  창작사진 연구

한제훈은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AAU에서 예술사진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패션 및 인물, 광고 사진 분야를 주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패션매거진, 광고 캠페인, 그리고 다양한 상업 프로젝트 등과 작업하였습니다. 광고사진 스튜디오인 라운드테이블스튜디오와 사진문화공간 사진공간 은하수를 운영하며 사진전시기획, 사진교육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미래교육원에서 패션사진과 인물사진, 라이팅 등을 교육하고 있으며 동교육원 사진센터의 창작사진과정을 담당하고 있다.

학위과정 (사진영상학과, 학점은행)

지중근   |  조명실습

광고사진가
복합예술공간 ‘수플레이스’ 대표,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월간 ‘art in culture’ 사진 디렉터 역임, 민주화운동기념관 내 30m LED wall 전시 ‘민주의 기억’컨텐츠 제작, 삼성전자, LG전자, 기아자동차, 소니코리아등 다수의 제품 광고사진 작업, 인천국제공항, 한화, 대림, 호텔신라 등, 기업 이미지 제작

박찬민   |   사진학개론

사진작가
The University of Edinburgh (ECA), MA in Contemporary Art(Photography)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졸업
수상 6 일우사진상
개인전 We built this City, 갤러리 진선』, Urbanscape; Surrounded by Space/공간의 포위, 일우스페이스』
그룹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Centro Cultural Borges, Argentina, 『나를 만나는 계절, 대구미술관』, Shenzhen International Photography Exhibition, China
저서 Urbanscape; Surrounded by Space/BLOCKS, ILWOO Foundation , BLOCKS, IAANBOOKS

박형근   |   사진예술론

사진교육가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MA Image and Communication 졸업
출판기획 GENE 대표 역임
제주문화예술재단 前이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강의,
수원대학교 미술대학 강의,
전주대학교 공연영상사진학과 강의 등 다수 사진 교육 강의
제12회 일우사진상 수상,
2014 프랑스 포토케이레지던시 국제사진상 수상

정경자   |  전시기획과 포트폴리오

사진작가

The University of Edinburgh, MA Contemporary Art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제23회 광주신세계미술제 대상, 제5회 일우사진상 등 수상
개인전 「어떤 의미, 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다른 면, 뮤지엄한미 삼청별관, 서울」, 「우연의 뿌리, 일우 스페이스, 서울」 등
그룹전 「부산국제사진제, 살과 돌, F1963, 부산」, 「서울사진축제: 창동, 사진을 품다, 플랫폼 창동 61, 서울」, 「대구사진비엔날레, 도시의 비밀,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등 출판 「다른 면, 뮤지엄 한미」, 「우연의 뿌리, 일우재단」

김천수   |  디지털사진

사진작가
Glasgow School of Art, 글래스고 미술학교, 순수미술 석사 졸업(영국)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개인전 「로우, BMW Photo Space, 부산」, 「알프스, 스페이스22, 서울」, 「로우, 로우패스, 일우스페이스, 서울」  
그룹전 「정착세계, 북서울미술관, 서울」, 「내가사진을찍는이유, 프로젝트룸신포, 인천」, 「아트바캉스 한번의 겨울, 광주신세계백화점갤러리, 광주」
9 일우사진상 전시부문 수상, 스페이스바바 포트폴리오 리뷰 개인전 지원 선정

왕태석   |  포토저널리즘실습

보도사진가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신문학 졸업
한국일보(1992 – 2022)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3 수상, 한국사진기협회 이달의 보도사진 10 수상

한제훈   |  패션사진

광고사진가, ㈜ 라운드테이블 이미지컴퍼니 대표

Academy of Art University, San Francisco 석사 졸업/ MFA Photography

조세현작가 아이콘 스튜디오 팀장, studio 보물섬 IC 대표 역임

주요 클라이언트 Hapers Bazzar, Marie Claire, 대우건설, 쉐보레, 국민연금, 삼성생명, 교보생명, 롯데건설, 우리은행, 아모레퍼시픽, 현대하이스코, 미국 Organic Cotton, Association, 삼성전자, 코리아나 화장품, GS건설, 디자인하우스, SBS, Gmarket,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개인전「Nine Windows. the Gallery at Calumet Photographic, San Fransisco」,
단체전「Critical Point in Mind, LG패션 갤러리, 서울」 「16 Perspective in Presideo. 625 Shutter Gallery, San Fransisco」등

박준범  디지털 비디오제작 실습

미디어 아티스트, 박준범 비디오 대표
인도 한국문화원 예술감독 역임
송은미술대상, SIA 미디어아트 어워즈그랑프리 수상SINAP Artist, 신도리코 작가지원 프로그램 선정 작가, 호주 Art Space, Sydney; Gertrude Contemporary, Melbourne 프로그램 초대작가
To Let, Centre for the Urban Built Environment, Manchester, 「강력한 신앙심, 갤러리현대」 개인전, Liverpool Biennial, Liverpool, 「부산 비엔날레, 부산」, Elastic Taboos, Vienna Kunsthalle, Vienna 다수의 국제 단체전 참가

노연숙   |  컬러사진론

컬러 이미지 스페셜리스트 , 현 픽스이미지랩 대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석사/박사 졸업
수행 프로젝트: 화질개선 딥러닝 솔루션(LG전자), UDC 카메라 화질 분석(삼성디스플레이), 사진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서울시립미술관), 1급문화예술교육사 제도운영 방안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셀피행동과 소비방식 연구(아모레퍼시픽재단) 등
발표 논문: 셀피보정 행동 분석 연구: MZ세대의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스마트폰 카메라의 피부색 재현과 선호에 관한 연구(한국색채학회논문집), 실사기반 VR 콘텐츠의 감성반응 연구(감성과학회지), 영상의 화질 속성이 기억색의 선호변화에 미치는 영향(한국색채학회논문집) 등
저서: 완벽한 컬러작업을 위한 컬러 매니지먼트, 디지털 사진의 정석: 디지털 암실, 죽기 전에 꼭 찍어봐야 할 사진 1001 등